반응형
Tomcat 버전별로 디렉터리 구조는 약간 다를 수 있다. 기본적으로는 아래 구조를 따른다.
/bin | 시작과 종료 스크립트 등이 있음 |
/conf | 주요 설정파일을 담고 있고, server.xml, web.xml 파일 등을 포함하고 있음. 설정 파일에 대해 설명은 아래에 있음 |
/server | Tomcat의 자바 아카이브 파일 |
/lib | Tomcat이 의존하는 자바 아카이브 파일 |
/logs | 로그 파일들 |
/src | Tomcat 서버가 사용하는 소스코드. 일단 Tomcat이 릴리즈되면 아마도 인터페이스와 클래스만 담게 될 것임 |
/webapps | 모든 웹 애플리케이션이 배포되는 디렉토리로서 WAR 형태임. |
/work | JSP는 내부적으로 서블릿으로 생성되어 배포되는데, JSP가 변환된 서블릿 파일을 담고 있음 |
conf/에 있는 주요 설정 파일은 아래와 같다.
- server.xml - 가장 중요한 설정 파일로 IP주소, 포트, 가상 호스트, 컨텍스트 경로 등과 같은 중요 정보를 포함한다.
- web.xml - Tomcat 인스턴스가 시작될 때, 모든 애플리케이션의 기본값을 정의한다. 웹 애플리케이션의 자신만의 배포 디스크립터가 설정되어 있으면, 해당 설정 내용은 오버라이딩 된다.
- catalina.policy - 보안 정책 권한을 설정하는 파일.
- catalina.properties - 인스턴스를 시작할 때 검색하는 서버, 공유 로더, JAR 등의 공유 정의를 포함한다.
- tomcat-users.xml - 역할에 기반한 정의에 따라 인증, 승인에 사용하는 파일이다.
- logging.properties - 인스턴스의 로깅 관련 프로퍼티 파일이다.
- context.xml -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때 이 파일의 내용을 로드한다. context.xml에는 세션 저장, cornet 연결 추적 등과 같은 파라미터가 있다.
'WAS > Tomca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Tips] JSP에서 한글 인코딩 처리 (0) | 2016.12.11 |
---|---|
[모니터링] JConsole로 Tomcat 서버 모니터링 하기 (0) | 2016.10.05 |
[Tips] Tomcat 기동 시에 특정 클래스 실행 (0) | 2016.09.20 |
[Tips] 심볼릭링크 사용 시 404 오류 발생 시 (0) | 2016.05.12 |
[Tips] x-powered-by 헤더 정보 없애기 (보안상 이슈) (0) | 2016.05.1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