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글 처리하는 방법은 GET방식 요청, POST 방식 요청, Content 리턴 시에 따라 처리 방법이 다르다.
아래 예제는 UTF-8 인코딩을 사용하는 예제이다. 만약에 EUC-KR을 사용하면 UTF-8 대신에 EUC-KR을 적용하면 된다.
1. GET 방식 요청에 대한 한글 처리
GET 방식은 파라미터를 URI를 통해 전달하므로 URI Encoding 값을 설정하면됨. 관련 파라미터는 CATALINA_HOME/conf/server.xml 설정 파일을 수정하면 됨
... <Connector port="8080" protocol="HTTP/1.1" ... URIEncoding="UTF-8"/> .... |
... <% request.setCharacterEncoding("UTF-8"); String str=request.getParameter("name"); ... %> .... |
3. 응답 시에는 웹 브라우저에게 한글 인코딩 정보를 알려줌
웹 브라우저는 응답되는 문서의 Content Type을 보고 인코딩을 함 (브라우저 설정을 자동으로 선택한 경우)
<%@page contentType="text/html;charset=UTF-8" pageEncoding="UTF-8"%> 또는, response.contentType("text/html;charset=UTF-8") 또는, <meta http-equiv="Content-Type" content="text/html;charset=UTF-8"> |
[참고] 위에서 contentType은 응답문서의 인코딩 방식이고, pageEncoding은 JSP 소스 자체의 인코딩방식을 의미함
'WAS > Tomca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Tips] 특정 IP에서 WebApp에 대한 접근 차단 (0) | 2018.05.12 |
---|---|
[Tips] Tomcat 버전 확인 (0) | 2018.02.22 |
[모니터링] JConsole로 Tomcat 서버 모니터링 하기 (0) | 2016.10.05 |
[Tips] Tomcat 기동 시에 특정 클래스 실행 (0) | 2016.09.20 |
[Tips] 심볼릭링크 사용 시 404 오류 발생 시 (0) | 2016.05.1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