I. 사용자 시스템 모니터링
* uCloud watch - 모니터링 기능, 감시와 알람 경보 기능 제공, 무상제공임. 메모리 관련 수치는 부정확해서 사용하지 않기를 권장
* Agentless, Agent (VM에 별도 설치 필요) - CPU, Disk, Memory, Process 등
* 메트릭, 네임스페이스, 디멘전 등 용어 의미 파악
* 화면 구성 - 알람현황, 알람이력, 통합메트릭
* 모니터링 주기 최소 5분 단위임
[실습]
* Linux, Window 별 각 1개 서버 생성
* 개별 VM의 최대 CPU 사용률 통계 보기
* 메트릭을 기반으로 알람 생성하기
* uCloud Watch Agent 활용하기 (Linux & Windows)
* 부하 발생에 따른 ucloud watch 동작
II. Autoscaling
* Scale up/down은 서버의 spec.을 조절하는 것이고, Scale in/out은 서버의 수량을 조절하는 것
* Scale up/down은 VM 중지시켜야 함(서비스 중지)
* Scale in/out을 하려면 유료 VM을 사용해야 함(비용부담)
* Autoscaling - 자동화된 Scale in/out, 5분 주기 모니터링
* Session Clustering - scale in 발생 시에 해당 서버에 수용된 세션이 끊김
* Autoscaling 동작 방법 - Launch Configuration 정책 생성, Autoscaling Group 생성, Autoscaling 수행방법 설정
* 이미지는 root 볼륨에 대해서만 가능하고, 서버가 정지한 후 이미지 생성
* 반면에 스냅샷은 서버 기동 중에도 찍을 수 있음. 후에 스냅샷으로 이미지 생성해도 됨
[실습]
* 웹서버 scaling 및 session clustering
* tomcat session clustering 구성
* 로드밸런서 생성
* 이미지 생성
* Topic 생성 - HTTP 또는 email로 공지 하기 위함
* Autoscaling 구성
* 부하생성으로 scale out 트리거
* Autoscaling 결과 확인
* Tomcat Session Clustering 결과 확인
* Scale in 실행 - 수동으로 트리거
III. uCloud DB
* uCloud DB 기능 - Managed MySQL Database Service
* uCloud DB 접속 시 WAS VM에서는 SSH로 접근하고, 인터넷(공인 IP)으로 DB 접속 가능(MySQL workbench 사용 등)
* uCloud DB replication 구조
* uCloud DB HA는 MySQL Fabric을 활용함
* 시간제 요금과 월 요금제가 차이가 많이 없음
[실습]
* Single DB 서버 구성 및 생성
* Client를 이용한 접근
* Sample 테이블 생성
* uCloud DB HA 구조 - MySQL Fabric 활용. Primary 인스턴스만 R/W 가능하고, 나머지 인스턴스는 R만 가능함
* HA 자동 모드
'클라우드 컴퓨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erverless Computing 정의 (0) | 2016.04.18 |
---|---|
KT uCloud 1일 기본교육 내용 정리 (0) | 2016.03.16 |
KT uCloud G-클라우드 사용하기(요약) (0) | 2016.03.01 |